전체보기272 [JSTL] 동적으로 option selected 사용하기 로재의 개발 일기 JSTL에서 option selected를 사용하기 자주 사용하는 부분이지만, 일일히 코딩해주기에는오타 확률이 너무 큰 부분 소스코드 ${group.cdNm} Colored by Color Scriptercs ※ 본 글은 개인 포트폴리오 혹은 공부용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무단 복사 유포는 금지하지만, 개인 공부 용도로는 얼마든지 사용하셔도 좋습니다 2020. 12. 2. [Spring Framework] 한글 인코딩이 깨질때 (Spring Security 사용시) 로재의 개발 일기 스프링에서 한글 인코딩 주로 폼의 데이터 전송 기법으로는 Get과 Post가 있다. Get의 경우 Tomcat의 server.xml를 수정해주면 되는 것이고Post의 경우 web.xml를 수정해주면 되는 것인데 어떠한 이유에서인지, web.xml에서 설정한 필터링이직접 디코딩, 인코딩, 이클립스 소스파일 인코딩 문제 등등...-> 난리를 쳐도 한글이 정상적으로 출력되지 않는 것이다. 분명 비슷한 경험의 개발자들이 많을 것이고스스로도 기억하고자 남기는 글.. Encoding For Get Tomcat의 server.xml에서 다음을 수정해준다.cs이 부분에 URIEncoding를 추가시켜주어, 아래와 같이 만들어준다. cs 사실 이 부분은 딱히 손 볼게 없다. Encoding For Po.. 2020. 12. 2. [Docker] 도커 설치, Postgresql 추가 로재의 개발 일기 Docker 도커 '도커를 언젠가는 사용하겠지?' 라는 생각을 하고 있었다.. 하지만 최근 강의를 듣거나 여러 데이터베이스 및 웹 서버를 사용해 학습, 토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다보니, 도커를 필히 사용해야 시간을 절약할 수 있겠더라.. 그래서 설치하고 직접 사용하고 있는데매우 간편하고 좋네요. 지금까지 왜 사용하지 않았을까? 라는 후회 도커를 설치합니다. 간단하게 인터넷에 접속합니다.저의 경우는 리눅스 혹은 맥의 경우 였습니다. 링크주소>> https://hub.docker.com/_/docker 2020. 11. 29. [Spring Framework] MVC(모델-뷰-컨트롤러) 패턴에 대해서 알아보자 로재의 개발 일기 MVC 패턴 스프링에서 가장 쉽고, 가장 어려운 MVC이다. MVC 개념 모델-뷰-컨트롤러는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사용되는 아키텍처 패턴으로 MVC 패턴의 주 목적은 Business logic과 Presentation logic을 분리하기 위함이다. Model : 어플리케이션의 정보 (데이터, 비즈니스 로직 포함) => Service, DAO, RepositoryView : 사용자에게 제공할 화면 (Presentation Layer) => HTML, JSONController : Model과 View 사이의 상호 작용을 관리 Model Component 데이터 저장소와 연동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나 사용자에게 출력할 데이터를 다루는 일을 한다.여러 개의 데이터 변경 작업 (추가, 변경.. 2020. 11. 16. [Spring Framework] Layered Architecture 로재의 개발 일기 Layered Architecture 효율적인 개발과 유지보수를 위해서 어플리케이션을 계층화하여 개발하는 것이다.대체적으로 중/대규모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고 있다. 영역은 세개로 나눌 수 있다.Presentation LayerBusiness LayerData Layer Three Layers Presentation Layer Business Logic Layer Data Access Layer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계층사용자와 상호작용을 한다.사용자의 요청을 분석/응답 기능을 수행한다트랜잭션을 수행한다. 데이터베이스에 연동되어데이터의 저장과 조회를 담당한다. MVC (Model View Controller) Layered Architecture의 대표적인 패턴으로MVC 패턴이 있다. .. 2020. 11. 16. [Spring Framework] DI란 무엇인가? 로재의 개발 일기 DI에 대해서 알아보자 DI는 의존관계를 자동으로 스프링이 연결시켜주는 것이다. 개발자는 단지 빈 설정파일에서 의존관계가 필요하다는 정보를 추가해주면 된다.이를 통해서 객체의 결합도를 줄여 간결하게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 DI 컨테이너 Bean FactoryBean을 등록, 생성, 조회, 반환을 관리하며보통 Bean Factory를 바로 사용하지 않고, 이를 확장한 Application Context를 사용한다.getBean() 메서드가 정의되어있다. Application ContextBean을 등록, 생성, 조회, 반환 관리하는 기느은 Bean Factory와 같다.Spring의 각종 부가 서비스를 추가로 제공하며, Spring이 제공하는 Application Context 구현 클래.. 2020. 11. 16.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 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