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서적리뷰/대규모 서비스를 지탱하는 기술2 🚀 2장 – 시스템 구조를 그려보자 (대규모 서비스의 기본 골격을 이해하기) “어떻게 만들 것인가”웹 서비스 개발에 있어서 대부분의 초보자는 “어떻게 만들 것인가”에 집중합니다. 하지만 규모가 커질수록 중요한 것은 “어떻게 지탱할 것인가”입니다.바로 이 챕터에서는, 대규모 서비스를 뒷받침하는 시스템 구조가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이야기합니다.웹 서비스의 전체 구조를 한눈에 이해하고, 스스로 그려볼 수 있을 만큼 익숙해지는 것이 이 장의 목표입니다. "웹 서비스는 단일 서버로 구성되지 않는다"처음엔 단일 서버로도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 웹 서버,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가 하나의 머신 안에 있습니다. 그러나 트래픽이 늘어나고 사용자가 많아지면, 이 구조는 곧 한계에 봉착합니다.서비스가 무거워지면 서버는 느려지고,데이터가 많아지면 DB는 병목이 생기고,사용자 요청이 몰리면 응답.. 2025. 5. 11. 🚀 1장 : 대규모 웹 서비스 개발 오리엔테이션 “설계는 언제나 장애를 염두에 두고 시작해야 한다.”“서비스는 기획이 아니라 인프라로 완성된다.” 학생이 아닌 실무자 입장에서 읽어보니 하나같이 다 서비스 개발 입장에서의 철학서적 같은 느낌이다.틈틈이 내가 모르는 리눅스 명령어도 있던데 좀 정리해봐야겠다.📌 대규모 서비스를 설계하는 첫걸음『대규모 서비스를 지탱하는 기술』의 1장은 우리가 흔히 간과하는 질문 하나로 시작한다.“당신이 만든 서비스에 10배, 100배의 사용자가 몰린다면 버틸 수 있는가?” 이 질문은 단순히 서버 스펙을 높이거나 DB를 튜닝하는 차원이 아니다. 설계 자체가 다르다.서비스의 구조, 데이터 흐름, 장애 대응 방식까지 처음부터 "규모"를 염두에 두고 설계해야 한다는 것이 핵심이다. ⚙️ ‘단순한 구조’가 강력하다책에서 강조하는 핵.. 2025. 4. 2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