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보기272

[AWS] Centos7 서비스 등록하기 (Reboot시 서비스 자동 시작) [AWS] Centos7 서비스 등록하기 (Reboot시 서비스 자동 시작) 1. 서비스란 무엇일까? 🤔 서비스는 다양한 의미로 사용된다. 룸 서비스, 서비스업 등등.. 하지만 OS단에서 사용하는 “서비스”라는 의미는 상이하다. 서비스란 OS가 부팅되었을때, 생성되면서 종료될때까지 실행되는 Process 및 모든 설정 파일을 Service라고 한다. 실제로 우리가 많이 사용하고 있는 “Window”의 경우, 서비스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컴퓨터를 재부팅하면 카카오톡이 자동으로 실행이 되는 것이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전원공급 차단, 물리적인 오류 등등으로 인해서 OS를 재기동 해야만할 경우 서비스를 등록하여 자동으로 서비스들이 재기동 되도록 해야한다. - 예시 : 윈도우 서비스 - 예.. 2022. 4. 30.
[Mariadb] 이중화 구성, Galera Cluster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2. 4. 22.
[인프라] Apache httpd란?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2. 4. 22.
[인프라] NAS, 네트워크 결합 스토리지란?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2. 4. 22.
[인프라] NAT, 네트워크 주소 변환이란?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2. 4. 22.
[인프라] 미들웨어, 무엇인가? [인프라] 미들웨어, 무엇인가? 1. 미들웨어가 무엇인가요? 😲 🏫 CS 공부를 하거나 면접을 준비하면서, 미들웨어 (middleware)라는 용어가 익숙하지 않았다. 학생때는 OS, DBMS는 들어봤어도 미들웨어라는 용어는 많이 듣지 못하기 때문이다. 현업에서도 많이 듣는 편은 아니지만, 모르면 부끄러우니 짚고 넘어가자. 미들웨어는 기본적으로 데이터 변환을 위해서 사용된다. JSON, XML등 다양한 데이터 형식을 사이에서 (Middle)에서 연결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로는 데이터베이스 미들웨어, 애플리케이션 서버 미들웨어, 메시지 지향 미들웨어, 웹 미들웨어 및 트랜잭션 처리 모니터가 있다. 각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웹 서비스, R.. 2022. 4.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