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WS, Infra36

[MariaDB] 사용자, 서비스, DBA 계정 생성 정리 🚀 들어가며... 우선 전제조건이 필요하다. 1. 172.31.128.177 : 개발자, DBA의 IP 2. 172.31.96.% : 실서버 IP 대역 위 정보를 토대로 만들어보자. 1. 사용자 계정 생성 ########################################### ## 사용자 계정 ########################################### create user 'rojae'@'172.31.128.177' identified by 'password'; GRANT SELECT, INSERT, UPDATE, DELETE ON testdb.* TO 'rojae'@'172.31.128.177' IDENTIFIED BY 'password'; flush privileges; 개.. 2022. 6. 26.
[Jenkins] Github 설정 파일, 접속 정보를 배포 시에 변경하자 (sed 명령어) 🚀 들어가며... 개인 프로젝트나, 사내 중요한 정보가 인터넷에 공개 되면 안되는 경우에 해당합니다. Github에 데이터베이스 접속 정보를 "특정 문자열"로 설정하여, Jenkins에서 변경해줍니다. 🚦 Github의 yml, properties 파일 관리 ###################################### ## Spring bean override option ####################################### spring: redis: host: ${REDIS_IP} port: ${REDIS_PORT} connect-timeout: 1000000 main: allow-bean-definition-overriding: true .... ###############.. 2022. 6. 26.
[MariaDB] 테이블 컬럼, 코멘트를 엑셀파일로 만들자 (SELECT Column, Comment) 🚀 들어가며... 컬럼을 뽑아내면, 브라우저 HTML로 정리가 자동으로 된다. 이 HTML을 엑셀로 정리할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 소스코드 SELECT ORDINAL_POSITION as 순번, COLUMN_NAME as 컬럼명, COLUMN_TYPE as 타입, COLUMN_COMMENT as 설명 FROM INFORMATION_SCHEMA.COLUMNS WHERE TABLE_SCHEMA = '{DB_NAME}' AND TABLE_NAME = '{TABLE_NAME}'; 🙋🏻‍♂️ 변환하기 dbeaver의 경우로 예시로 들겠다. 1. 조회된 결과 (우 클릭) -> Open with -> 브라우저 클릭 브라우저에 아래와 같이 나온다. 2. 해당 페이지에서 Crtl + A -> Ctrl + C로 .. 2022. 6. 24.
[MariaDB] DB Proxy Maxscale이 WAS 서버에 위치할때 문제점 (Maxscale in WAS) 🚀 들어가면서 위 사진 처럼 Maxscale은 WAS 서버와 분리하여 사용한다. (사진에서 Client가 WAS 서버가 되겠다) 하지만 의도치 않게, WAS 서버 내부에 Maxscale이 위치하여 KeepAlived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회사에서 서버를 사주지 않거나, 이전 전임자가 구성을 알맞게 하지 못했거나..) 1. VIP 설정을 통한 로드밸런싱이 불가능 위처럼 보통 Maxscale 서버끼리 VIP 설정을 통해서, WAS 서버에서 접근을 한다. VIP란? VIP란 Virtual IP로 서버가 두대가 있을 때, 어떤 곳으로 정보를 보낼지 알 수 없기에 묶이도록 설정하는 가상의 IP이다. 하지만 VIP로 WAS가 이미 묶여 있는 상태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Maxscale에 대한 .. 2022. 6. 17.
[AWS] 라우팅 테이블을 다루자 (rc.local) 라우팅 테이블이란? 라우팅 테이블 추가하는 법 라우팅 테이블 삭제하는 법 rc.local에 등록해서 사용하자 1. 라우팅 테이블이란? 네트워크를 통해서 목적지로 패킷이 전송될 경로를 지정해주는 것을 “라우팅”이라고 합니다. 리눅스에서는 이미 설정되어 있는 “라우팅 테이블”이라는 맵을 통해서, 어떤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목적지까지 갈지 결정합니다.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 설정하는 명령어는 route, route -n입니다. 각 항목에 대한 설명 Destination: 목적지 Gateway: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주소 Genmask: 목적지 네트워크의 넷마스크 주소. 255.255.255.255로 지정되어 있으면 목적지 호스트의 주소, 0.0.0.0으로 지정되어 있으면 기본 게이.. 2022. 5. 30.
[AWS] 리눅스에서 라우팅 테이블을 날려버린 경우 (VPC 사용) [AWS] 리눅스 route 테이블을 날려버린 경우 라우팅 테이블 관련해서 공부를 하면서, 서버에서 외부와 연결되는 “라우팅 테이블”을 날려버렸다. SSH 접속 중이기 때문에, 바로 서버 연결 끊기는 상황에서, 실제 운영 중인 서비스였다면 매우 큰 참사가 벌어졌을 것 이다. AWS 라우팅 재설정 AWS VPC 서비스 해당 항목의 내용들을, 제거하고 그대로 다시 적어주고 "변경 사항 저장" 클릭. 라우팅이 떨어진 EC2 서버를 재기동한다. SSH 접속이 정상적으로 되는 것을 확인. 현업에서 애초에 root 권한으로만 라우팅 설정이 가능하기에 안전하지만 그냥 참고로 남겨둔다. (정말 특이한 경험이였다) 2022. 5.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