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72

[백준 10828] 스택 (cpp, stack) 🚀 들어가며... 백준 10828번 문제 풀이다. 단순한 구현 문제 🔗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0828 10828번: 스택 첫째 줄에 주어지는 명령의 수 N (1 ≤ N ≤ 1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명령이 하나씩 주어진다. 주어지는 정수는 1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보다 작거나 같다. 문제에 나와있지 www.acmicpc.net 💌 소스코드 #include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void){ int n; string cmd; stack st; cin >> n; while(n > 0){ cin >> cmd; if(cmd=="push"){ int num; cin >> n.. 2021. 12. 12.
[Spring Boot] Log4j2 취약점에 대한 대응책 (CVE-2021-44228, CVE-2021-45105) 해당 글은 아래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https://rlog.or.kr/post/96 [Spring Boot] Log4j2 취약점에 대한 대응책 (CVE-2021-44228) Log4j2 취약점(CVE-2021-44228)으로 인한 스프링 서버 대응책. 스프링 재단에서 권고하는 버전인 Log4j (v2.15.0)로 강제 업데이트를 진행. rlog.or.kr ⚙️ 수정내역 1. 취약점 : CVE-2021-45105 취약버전 : 2.0-beta9 ~ 2.16.0 버전 (Log4j 2.12.3 제외) 취약점 CVE-2021-45105으로 인해서 log4j 2.17.0으로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취약점 CVE-2021-45105으로 인해서 log4j 2.17.1으로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https://www.k.. 2021. 12. 12.
Visual Studio Code에 개발환경 셋팅하기 (VS Code 코테 준비) 중지 : ctrl + alt + m)윈도우 환경에서 Dev-C++을 사용했었는데 현재 사용하는 맥북의 경우, Dec-C++를 제공하지 않는다. 이제 vscode로 갈아타자 생각해보면.. 맥, 리눅스, 윈도우 모두 VS Code 사용이 가능하다. 참 좋은 IDE 개발환경인 것 같다. VS Code 설치 아래 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하여 설치를 하자. Download Visual Studio Code - Mac, Linux, Windows Download Visual Studio Code - Mac, Linux, Windows Visual Studio Code is free and available on your favorite platform - Linux, macOS, and Windows. Download .. 2021. 12. 11.
[AWS] Load Balancer를 사용하여 HTTPS로 리다이렉션 1. 로드밸런서 설정으로 이동하자. EC2 -> 로드밸런서 -> 리스너 탭 이제 리스너를 추가/편집을 진행하겠다. (혹시 443포트 요청에 대한 설정이 있더라도 수정할 필요가 없다) 2. 로드밸런서에 HTTP 요청, 규칙을 추가/수정. 규칙 보기/편집를 클릭하자. 아예 존재하지 않을 시에는 추가를 해줘야 한다. 3. 80포트의 작업을 추가. 설명 - HTTP 80 : 기본 작업요청 - IF : 요청 시에 라우팅 - THEN을 클릭하여 작업 추가 -> 리디렉션 대상 우리는 단순하게 리다이렉션만 해주면 되니까.. THEN만 추가해준다. 3-1. 리디렉션 대상을 선택 3-2. 상세 설정. 3-3. 저장 및 확인 위 처럼 설정을 해주어, 우측 상단의 업데이트 클릭 결론적으론, 이렇게 되어야 한다. 4. 테스트 .. 2021. 12. 8.
[전자서명] 심플하지만 강력한 전자서명 모듈 개발 프로세스. 1. 공인인증서나 PASS를 통해서 CI, 혹은 인증서 값을 가져온다. 2. 이를 기반으로, 해당 문서 서명을 대신할 수 있다. (특히 법적인 효력이 필요한 서비스) - 인증서값 & HASH = 암호화값 - (현재 대개의 전자계약의 방식이다) 3. 여기에 전자서명을 추가한다. UI상, React로 전자서명을 추가하여, 사용자의 인증필서를 받고 (signature-pad 사용) 1. ( 인증서값 + 전자서명 데이터 ) & HASH => 암호화 값 2. (인증서값 + 전자서명 데이터 ) & 개인키 => 암호화된 값 2번과 같이 개인키 공개키 암호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KISA에서 그나마 쉽게 승인해줄듯..)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법적으로), 사용자가 서명한 자체이다. (그리고 그 데이터) 4. 즉.. 2021. 11. 18.
[React] npm ERR! cb() never called! 오류 해결하기. React 프로젝트를 생성할때,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되는 경우가 있었다. npm ERR! cb() never called! npm ERR! This is an error with npm itself. Please report this error at: npm ERR! 갑작스런 오류.. 혹시 이전에 진행한 npm 모듈의 캐쉬에서 충돌이 발생한 거 아닐까 생각되어, 캐쉬를 지웠더니 정상적으로 동작하였다. # cache 삭제 sudo npm cache clean # 옵션 --force 추가 sudo npm cache clean --force 해결 단순하지만, 헤맬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기억해주자. 2021. 11.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