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준 9935] 문자열 폭발알고리즘/백준 2019. 5. 12. 02:31
스택 입문으로 풀기에는 쉬운 문제는 아니다.
보자마자, 떠오르는 방법으로 구현을 해봤지만
보기 좋게 틀린 문제이다.
또한 질문게시판에서 반례를 찾아봤지만,
문제의 조건에 맞지 않는 반례 때문에 헤매기도 하였다.
( 조건 : 폭발 문자열에서 같은 문자는 2번 이상 나올 수 없습니다)
stack<pair<int, int> > st 을 사용하여
first에는 문자열의 해당하는 위치
second에는 폭발 문자열에 해당하는 인덱스를 삽입하며 진행한다.
기존 문자열 : mirkovC4nizCC44
폭발 문자열 : C4
1. if(a[i] == b[0])
// m i r k o v ...
이때 C에서 (a[6] == b[0]) 이기 때문에
st.push(make_pair( i, 0 )을 시켜준다.
** 폭발 문자열의 첫번째 문자는 매번 검사해줘야 한다 **
( 폭발 이후 합쳐지고 폭발이 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2. st.top().second + 1
( 진행한 폭발 문자열 인덱스 + 1)을 검사하여
차례대로 이어간 이후에
3. if((st.top().second + 1) == b.size() - 1)
(폭발 문자열 조건 만족하면)
4. erased[st.top().first] = true 를 만들어주고
st.pop을 해주면 된다 ( 폭발 문자열 갯수 만큼 )
출력은 erased와 a(기존 문자열)을 비교하여 처리해주면 된다.
이때 문제에서 출력 값이 없을 시, FRULA를 출력하라고 했기 때문에
적절히 만족시켜주면 된다.출처 : https://www.acmicpc.net/problem/9935
문제
상근이는 문자열에 폭발 문자열을 심어 놓았다. 폭발 문자열이 폭발하면 그 문자는 문자열에서 사라지며, 남은 문자열은 합쳐지게 된다.
폭발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된다.
- 문자열이 폭발 문자열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 모든 폭발 문자열이 폭발하게 된다. 남은 문자열을 순서대로 이어 붙여 새로운 문자열을 만든다.
- 새로 생긴 문자열에 폭발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 폭발은 폭발 문자열이 문자열에 없을 때까지 계속된다.
상근이는 모든 폭발이 끝난 후에 어떤 문자열이 남는지 구해보려고 한다. 남아있는 문자가 없는 경우가 있다. 이때는 "FRULA"를 출력한다.
폭발 문자열은 같은 문자를 두 개 이상 포함하지 않는다.
입력
첫째 줄에 문자열이 주어진다. 문자열의 길이는 1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0보다 작거나 같다.
둘째 줄에 폭발 문자열이 주어진다. 길이는 1보다 크거나 같고, 36보다 작거나 같다.
두 문자열은 모두 알파벳 소문자와 대문자, 숫자 0, 1, ..., 9로만 이루어져 있다.
출력
첫째 줄에 모든 폭발이 끝난 후 남은 문자열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mirkovC4nizCC44 C4
예제 출력 1
mirkovniz
예제 입력 2
12ab112ab2ab 12ab
예제 출력 2
FRULA
소스코드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4748495051525354555657585960616263646566#include<iostream>#include<cstdio>#include<stack>#include<cstring>using namespace std;#define MAX 1000001char str[MAX]; // 기존 문자열bool erased[MAX]; // 지워야 하는 문자열char boom[100]; // boom! 폭발시켜야 하는 문자열bool check; // 남는 것이 하나도 없는지 checkint main(){cin >> str;cin >> boom;int n = strlen(str);int m = strlen(boom);if(m == 1){ // 폭발시켜야 하는 문자열 길이가 1이면for(int i = 0; i < n; i++){ // for문으로 빠르게 처리if(str[i] == boom[0]){erased[i] = true;}}}else{stack<pair<int, int> > st; // stack의 first는 a의 인덱스, second는 해당 문자pair<int, int> p;for(int i = 0; i < n; i++){if(str[i] == boom[0]){st.push(make_pair(i,0));}else{if(!st.empty()){p = st.top(); // p는 지울 수 있는 후보 문자if(str[i] == boom[p.second+1]){ // 지워야하는 다음 문자를 찾은 경우st.push(make_pair(i,p.second+1));if(p.second+1 == m-1){ // 문자열을 모두 찾은 경우for(int k = 0; k < m; k++){ // 지워준다p = st.top();erased[p.first] = true;st.pop();}}}else{ // 시작 문자도 아니고 마지막 문자도 아니기 때문에while(!st.empty())st.pop();}}}}}for(int i = 0; i < n; i++){if(erased[i])continue;check = true;cout << str[i];}if(!check)cout << "FRULA";return 0;}cs ※ 본 글은 개인 포트폴리오 혹은 공부용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무단 복사 유포는 금지하지만, 개인 공부 용도로는 얼마든지 사용하셔도 좋습니다.
반응형'알고리즘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717] 집합의 표현 (0) 2019.05.12 [백준 3015] 오아시스 재결합 (0) 2019.05.12 [백준 11725] 트리의 부모 찾기 (0) 2019.05.11 [백준 3111] 검열 (0) 2019.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