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10 방향성에 대해서일상 2019. 6. 10. 21:34
Next..?
TCP/IP에 대해서 공부를 진행하면서 스스로 부족한 점이 많다고 느낀다.
학교에서 C에 대해서 깊게 공부한 수업도 없었고 그러한 과정도 없었기 때문에
file control에 관한 fcntl 함수에 관한 이해가 부족했고...
파일 디스크립터에 대한 내용도 꽤나 부족했었다. (다른 부분도 마찬가지)
생각해보면 학교에서 java 위주로 수업을 진행했기 때문에 어쩔 수는 없지만.. (핑계)
그러다..
겨울방학때 C 수업을 들었고 포인터에 대한 이해도가 전보다 상당히 나아졌고
생각해보면 C++ 공부를 하길 정말 잘 했던 것 같다.
이후에는 무엇을 공부하면 좋을까?
코딩 테스트
최근 기업에서 코딩 테스트 (줄여서 코테)를 실시하는 곳이 많아졌다.
BTS DP DFS GRDDY 부분은 꾸준하게 공부를 해야 한다고 느낀다.
(아직은 굳이 세그먼트 트리 수준까지는 공부하지 않아도 될 것 같다)
시스템 프로그래밍
TCP/IP를 공부하면서 느낀 부분이지만
3학년때 수강했던 운영체제나 컴퓨터 구조에 수업이
낮은 단계의 프로그래밍에서 정말 도움이 된다.
예를 들면 pipe에 대한 개념이나 signal에 대한 개념을 알고 비봉쇄 통신을 이해하는 것과
모르고 하는 것과는 하늘과 땅 차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개념은 알고 있지만 signal이나 pipe가 어떻게 구현이 되어 있는지
Win/Unix가 어떠한 함수를 제공하고 있는지는 TCP/IP를 공부하면서 필요성을 느꼈다.
사실 시스템 프로그래밍 공부를 한 이후에 소켓 프로그래밍을 진행하는 것이 정석이긴 하지만..
Win api
윈도우에서 제공하는 api를 직접 사용해보고 구현도 해보는 과정도 필요할 것 같다.
모르는 것과 아는 것은 엄청난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마무리
나는 아직 걷지도 못하는구나
프로젝트들부터 끝내자.
※ 본 글은 개인 포트폴리오 혹은 공부용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무단 복사 유포는 금지하지만, 개인 공부 용도로는 얼마든지 사용하셔도 좋습니다
반응형'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스토리 글씨체] 티스토리 글씨체 인식 해결하기 (0) 2019.09.08 블로그에 새로운 스킨을 입혔어요! (0) 2019.07.11 구글 애드센스 2달차 느낀 점 (2) 2019.07.11 6.5 끄적임 (0) 2019.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