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뇌자극 TCP/IP 8강 요약C_C++ 프로그래밍/뇌를 자극하는 TCP_IP 2019. 5. 26. 00:43
인터넷 커뮤니케이션 방법
TCP / UDP
TCP 통신의 이유
패킷 통신
다양한 경로
다양한 회선 상태
TCP 프로토콜의 특징
1. 연결 지향
(Three-way handshake)
전화와 비슷하게 세번의 과정으로 상대방을 서로 확인한다.
개인의 SEQ를 교환하여 +1을 더하여 ACK 신호를 교환하여 서로를 확인
2. 신뢰성
(전 이중 통신)
SEQ(시퀀스 번호)를 사용하여 패킷의 순서를 조정을 할 수 있다. => 신뢰성
모든 메시지의 ACK를 보낸다
잡음과 변조 = CheckSum
경로는 어떻게 확인을 할 수 있을까?
IP가 맡고 있다.
그래서 TCP/IP
1. 인터넷에서 전달된 데이터 -> 소켓 버퍼
2. 소켓 버퍼 -> read() -> 애플리케이션
( 소켓버퍼를 사용하지 않으면 빠르지만, 데이터 불일치 현상이 우려)
3. 데이터의 경계를 알기 위해서 (어디까지가 하나의 데이터인지 알아야 한다)
=> HTTP 프로토콜에 명시가 되어있다.
Content-length or size
socket(AF_INET, SOCK_STREAM, 0);
server : bind -> read..
client : connect -> listen..
※ 본 글은 개인 포트폴리오 혹은 공부용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무단 복사 유포는 금지하지만, 개인 공부 용도로는 얼마든지 사용하셔도 좋습니다
반응형'C_C++ 프로그래밍 > 뇌를 자극하는 TCP_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자극 TCP/IP 10강 요약 (0) 2019.06.02 뇌자극 TCP/IP 9강 요약 (0) 2019.05.29 뇌자극 TCP/IP 7장 요약 (0) 2019.05.25 뇌자극 TCP/IP 6강 요약 (0) 2019.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