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_C++ 프로그래밍/뇌를 자극하는 TCP_IP

뇌자극 TCP/IP 7장 요약

by RoJae 2019. 5. 25.



인터넷 주소와 도메인

인터넷 사이에서 노드를 구별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 인터넷 주소이다.

방대한 크기의 주소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 필요하다.


42억개의 노드를 관리할 수 있다.

0.0.0.0 ~ 255.255.255.255

계층적 관리 (4계층) 를 한다.

1바이트 = 256새 (0~255)




ICANN 국제적 관리 기구에서 관리한다.
A Class (0...)
국가 단위의 빅 클래스

B Class (10...)
대형 기업, 대학, 연구소

C Class (110...)
작은 규모의 회사 클래스

D Class (1110...)



인터넷 주소는 이더넷 카드에 할당이 되어 있다.
하나의 이더넷 카드에 여러개의 주소가 부여되기도 한다.
MAC address

점 표기 방식은 컴퓨터가 해석할 수가 없다.
즉 주소 변환을 위한 함수가 필요하다.
192.168.0.1 => 281...

점 표기 방식 -> 이진 인터넷 주소
int_addr_t inet_addr(const char *cp)

이진 인터넷 주소 -> 점 표기 방식
char *inet_ntoa(struct in_addr in)



인터넷에서는 이진 인터넷 주소만 사용된다.
도메인 주소를 변환해주는 시스템이 필요하게 된다.
= DNS

사용자 -> www.google.co.kr || xxx.xx.xx.x -> DNS <-> DB


도메인 주소 변환 함수

struct hostent *gethostbyname(const char *name);

struct hostent{
..
..
};

※ 본 글은 개인 포트폴리오 혹은 공부용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무단 복사 유포는 금지하지만, 개인 공부 용도로는 얼마든지 사용하셔도 좋습니다


'C_C++ 프로그래밍 > 뇌를 자극하는 TCP_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자극 TCP/IP 9강 요약  (0) 2019.05.29
뇌자극 TCP/IP 8강 요약  (0) 2019.05.26
뇌자극 TCP/IP 6강 요약  (0) 2019.05.25
뇌자극 TCP/IP 5강 요약  (0) 2019.05.2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