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뇌자극 TCP/IP 1강 요약
    C_C++ 프로그래밍/뇌를 자극하는 TCP_IP 2019. 5. 19. 15:58


    컴퓨터 네트워크로의 진화

    모든 것은 정보이고, 모든 자연현상은 정보와 네트워크의 상호작용의 결과이다.

    생물 현상도 정보와 네트워크의 상호작용의 결과이다.




    네트워크의 효과

    1. 한정된 노드와 공간에 더 많은 정보가 저장이 가능하다.

    2. 하나의 노드가 끊겨도 거미줄처럼 이어져 있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


    컴퓨터끼리 참여하는 네트워크의 문제가 있었다.

    중앙 집중형 -> 분산형


    상업적 컴퓨터 네트워킹을 위한 패킷 통신 방식의 개발이 필요했다.


    => 분산형 + 패킷 통신 --> 알파넷 --> 인터넷 (각 지역 별로 묶음) 이 만들어졌다.




    네트워크 구조를 유지하기 위한 프롵토콜 = IP

    통신을 보장하기 위한 프로토콜 = TCP



    IP

    전체 네트워크에서 식별 가능한 IP 주소를 부여하여, 원하는 노드로의 경로를 설정한다.

    인터넷상의 거의 모든 응용이 IP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노드와 노드 사이에는 경로 설정을 위한 라우터가 배치된다.


    TCP

    데이터는 여러 패킷으로 조각나서 이동이 된다.

    TCP는 효율적으로 패킷을 재 조립하고, 재 전송을 요청하는 흐름을 관리한다.



    TCP/IP 4계층

    지나치게 세분화 된 OSI 계층을 TCP/IP 계층으로 만듬.

    각각의 계층은 라우터가 이동할 때 마다, 하위 계층에서 상위 계층으로 정보가 이동한다.


    Encapsulation

    인터넷으로 나갈 때 까지 각 단계의 프로토콜 정보가 데이터에 덧 붙여진다.

    4계층

     

     


     user data -> web

    ↓ 

     

     

     ↘TCP Header

     user data


     

     ↘IP Header

     TCP Header

     user data

        1계층   

     ↘Ethernet Header

     IP Header

     TCP Header

     user data


    Demultiplexing

    캡슐화에 이어서, 몇 번의 라우터를 통해서 도달한다.

    웹 서버는 HTTP 프로토콜 규격에 의거하여 클로아인터의 요청을 확인하고 맞다면 문서를 읽어서 데이터를 전송한다. (user data)


    4계층

     

     

     

     user data -> web

     ↑

     

     

     ↖TCP Header

     user data

     ↑

     

    ↖IP Header

     TCP Header

     user data

        1계층   

     ↖Ethernet Header

     IP Header

     TCP Header

     user data



    ※ 본 글은 개인 포트폴리오 혹은 공부용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무단 복사 유포는 금지하지만, 개인 공부 용도로는 얼마든지 사용하셔도 좋습니다



    반응형

    'C_C++ 프로그래밍 > 뇌를 자극하는 TCP_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자극 TCP/IP 5강 요약  (0) 2019.05.20
    뇌자극 TCP/IP 4강 요약  (0) 2019.05.19
    뇌자극 TCP/IP 3강 요약  (0) 2019.05.19
    뇌자극 TCP/IP 2강 요약  (0) 2019.05.19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