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WS] CloudWatch 인스턴스에 대한 경보 생성AWS, Infra 2021. 12. 15. 00:52
🚀 들어가며...
- Cloud Watch 경보 생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 AWS 인스턴스의 CPU 사용률에 한계치(Threshold) 를 설정하여, 경보 메일을 발신하게 합니다.
- 경보 생성을 다루고 있어, 오토스케링(Auto Scaling)과 인스턴스 작업에 대한 내용은 제외했습니다.
- 경보를 수신하는, SNS 신규 등록에 대한 내용도 빠져있습니다.
📑 내용
1. CloudWatch로 이동
CloudWatch로 이동합니다.
2. [경보생성] 1단계 - 지표선택
경보생성을 위해서 지표를 설정하는 단계입니다.
이때, 하나의 지표만 선택을 해야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한계치 도달에 대한 기준을 명시합니다. (5분 사이의 평균)
한계치에 대한 설정입니다. (5분 사이의 평균이 1보다 클 경우, 경보 발생)
사실 CPU 사용률이 너무 낮습니다.
저 처럼 하시면 자원 낭비예요 (보통 70%가 이상적)
한계점(Threshold) 조건 설정으로, 그래프에 반영된 모습입니다.
3. [경보생성] 2단계 - 작업구성
경보 알림을 받을, SNS를 선택합니다. (생성하지 않은 경우는, 새 주제 생성을 통해서 메일 인증 및 추가를 해야 합니다)
경보 발생 시, 수행할 인스턴스 작업(중지, 재시작, 정지)과 오토스켈링 (인스턴스 추가 등..)을 설정합니다.
4. [경보 생성] 3단계 - 이름 및 설명 추가
실제 조회 시 표기되는 이름과 설명을 추가합니다.
5. [경보 생성] 4단계 - 미리보기 및 생성
마지막 단계에서 최종 확인을 하고, 경보 생성을 끝 마친다.
6. 테스트를 해보자
한계점(Threshold)를 낮추어, 경보를 발생시킵니다.
바로 AWS에서 경보 메일이 왔습니다. (성공!)
🙋🏻♂️ 후기
경보가 CPU 사용률 뿐이 아니라, 다른 기준을 명확히 정립하여 추가할 필요가 있다.
특히 웹 서버와 같은 경우는 CPU 사용률이 낮으며, WAS는 배포 시에 CPU 사용률이 급격하게 상승한다.
🔗 참고한 글
반응형'AWS, Inf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riaDB] 사용자, 서비스, DBA 계정 생성 정리 (0) 2022.06.26 [MariaDB] DB Proxy Maxscale이 WAS 서버에 위치할때 문제점 (Maxscale in WAS) (0) 2022.06.17 [AWS] 라우팅 테이블을 다루자 (rc.local) (0) 2022.05.30 [AWS] Centos7 Redis 설치 (yum 없이 수동 설치) (0) 2022.04.07